arch.ruaniz.com

Scott.Lee, Application Architect

Hardware Sizing

CPU

OLTP/BATCH

구분 | 산정 항목 | 내용| 적용 범위 | 일반값 – | – | – | – | – O1 | 분당 트랜잭션 수 | 산정 대상 서버에서의 분당 트랜잭션 발생 추정치의 합 | - | 업무 수 * 업무당 트랜잭션 수 O2 | 기본 tpmC 보정 | 실험 환경에서 측정한 tpmC 수치를 복잡한 실제 환경에 맞게 적용하기 위한 보정 | - | 5 O3 | 피크타임 부하 보정 | 업무가 과중한 시간대에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피크타임을 고려한 보정 | 1.2 ~ 1.5 | 1.3 O4 | 데이터베이스 크기 보정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레코드 건수와 전체 데이터베이스 볼륨을 고려한 보정 | 1.5 ~ 2.0 | 1.7 O5 | 애플리케이션 구조 보정 |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와 요구되는 응답 시간에 따른 성능 차이를 감안한 보정 | 1.1 ~ 1.5 | 1.2 O6 | 애플리케이션 부하 보정 | 온라인 작업을 수행하는 피크타임에 배치 작업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를 감안한 보정 | 1.3 ~ 2.2 | 1.7 O7 | 클러스터 보정 | 클러스터 환경에서 장애 발생 시를 대비한 보정 | 2-NODE : 1.4 ~ 1.5, 3-NODE :1.3 | - O8 | 시스템 여유율 | 예기치 못한 업무의 증가 등을 위한 여유율 | - | 1.3 O9 | 시스템 목표 활용률 |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전제로 한 CPU 활용률 | - | 0.7

CPU(tpmC 단위) = (분당 트랜잭션 수 * 기본 tpmC 보정 * 피크타임 부하 보정 * DB 크기 보정 * 애플리케이션 구조 보정 * 애플리케이션 부하 보정 * 클러스터 보정 * 시스템 여유율) / 시스템 목표 활용률

보정기준

more ...

피크타임 부하 보정

구분 적용값 설명
1.5 특정시간이나 특정일에 매우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1.4 특정 마감일이 있는 경우
1.3 특정 시간대에 매일 혹은 매주 피크타임이 있는 경우
기타 1.2 피크타임이 존재하나 부하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데이터베이스 크기 보정(레코드건수 : million)

DB 크기 ~ 8 ~ 32 ~ 128 ~ 256 256 이상
50Gbyte 미만 1.50 1.55 1.60 1.65 1.70
500Gbyte 미만 1.60 1.65 1.70 1.75 1.80
1Tbyte 미만 1.70 1.75 1.80 1.85 1.90
2Tbyte 미만 1.80 1.85 1.90 1.95 1.95
2Tbyte 이상 1.85 1.90 1.90 1.95 2.00

애플리케이션 구조 보정

응답 시간 1초 2초 3초 4초 5초 이상
적용값 1.50 1.35 1.20 1.10 1(적용안함)

애플리케이션 부하 보정

구분 적용값 설명
1.9 ~ 2.2 배치성 작업 등 추가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는 경우
1.6 ~ 1.8 온라인 트랜잭션에 일부 배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1.3 ~ 1.5 온라인 트랜잭션 외에 배치성 작업 등 추가 작업이 없는 경우

WEB/WAS

구분 | 산정 항목 | 내용| 적용 범위 | 일반값 – | – | – | – | – S1 | 동시 사용자 수 |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을 네트워크 상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 | - | 산정값 S2 | 사용자당 오퍼레이션 수 | 사용자 한 사람이 초당 발생시키는 오퍼레이션 수 | 3 ~ 6개 | 5개 S3 | 기본 OPS 보정 | 실험 환경에서 측정한 ops 수치를 복잡한 실제 환경에 맞게 적용하기 위한 보정 | - | 3 S4 | 업무 용도 보정 | 적용 대상 시스템 유형에 따른 보정치 | - | WEB : 0.7, WAS : 2 S5 | 인터페이스 부하 보정 | 서버가 타 서버와 통신하게 될때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고려한 보정 | 1.1 ~ 1.2 | 1.1 S6 | 피크타임 부하 보정 | 갑자기 많은 접속으로 인해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보정 | 1.2 ~ 1.5 | 1.3 S7 | 클러스터 보정 | 클러스터 환경에서 장애 발생 시를 대비한 보정 | 2-NODE : 1.4 ~ 1.5, 3-NODE :1.3 | - S8 | 시스템 여유율 | 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위한 보정 | - | 1.3 S9 | 시스템 목표 활용률 |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전제로 한 CPU 활용률 | - | 0.7
S10 | 단위보정 | 산정 결과를 max-jOPS 단위로 변환하는 위한 환산치 | 29 ~ 31 | 30

CPU(max-jOPS단위) = (동시 사용자 수 * 사용자당 오퍼레이션 수 * 기본 OPS보정 * 업무 용도 보정 * 인터페이스 부하 보정 * 피크타임 부하 보정 * 클러스터 보정 * 시스템 여유율) / (시스템 목표 활용률*단위 보정)

보정기준

more ...

사용자당 오퍼레이션 수

적용값 설명
3 웹서비스 위주 업무(복잡한 응용 로직이 아닌 조회 위주의 업무를 의미함)
4 웹서비스와 응용 로직 혼합되어 있으나 웹서비스 위주 업무
5 웹서비스와 응용 로직
6 응용 로직 위주의 업무

업무 용도 보정

적용값 설명
0.7 WEB 서버
2 WAS 서버

피크타임 부하 보정

구분 적용값 설명
1.5 특정시간이나 특정일에 매우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1.4 특정한 마감일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1.3 특정 시간대에 매일 혹은 매주 피크타임이 있는 경우
기타 1.2 피크타임이 존재하나 부하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단위보정

적용값 설명
29 X86 서버
30 서버 형태 미정(일반값)
31 Unix 서버

MEMORY

구분 | 산정 항목 | 내용| 적용 범위 | 일반값 – | – | – | – | – M1 | 시스템 영역 | OS, DBMS 엔진, 미들웨어 엔진 , 기타 유틸리티 등의 소요 공간 | - | 산정값 M2 | 사용자당 필요 메모리 |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DBMS의 사용에 필요한 사용자당 메모리 | 1MB ~ 3MB | 2MB M3 | 동시 사용자수 |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을 네트워크상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 | - | 산정값 M4 | OS 버퍼 캐시 | 보정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량의 데이터를 임시로 모아 놓은 기억 장소를 위한 보정 | 1.1 ~ 1.3 | 1.15
M5 | 미들웨어 버퍼 캐시 | 메모리 DBMS의 공유메모리, WAS의 heap size 등 미들웨어에서 사용하는 캐시 영역 | - | 산정값 M6 | 시스템 여유율 | 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위한 보정 | - | 1.3

메모리(MB단위) = {시스템 영역 + (사용자당 필요 메모리 * 사용자 수) + 미들웨어 버퍼 캐시 메모리} * 버퍼 캐시 보정 * 시스템 여유율

DISK

구분 | 산정 항목 | 내용| 적용 범위 | 일반값 – | – | – | – | – D1 | 시스템OS 영역 | 운영체제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을 위한 영역한 영역 | - | 산정값 D1 | 응용 프로그램 영역 | 미들웨어 및 응용 소프트웨어 영역, 데이터베이스 설치 영역, 기타 유틸리티 설치 영역 등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영역 | - | 산정값 D1 | SWAP 영역 | 시스템 장애 시의 Dump역할 수행과 메모리 대용의 효율적인 Swapping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 | - | 산정값 D1 | 파일 시스템 오버헤드 | 일반 사용자 관리 영역을 위한 슈퍼 유저의 관리 공간 및 I-node Overhead, 슈퍼블럭, 실린더 그룹 등 파일관리 공간 | - | 산정값 D1 | 시스템/데이터 디스크 여유율 | 시스템의 안정된 운영을 위한 보정으로 업무의 중요도나 긴급도를 감안하여 적용 | 1.2 ~ 1.5 | 1.3 D1 | 데이터 영역 | 실제 필요한 데이터량 | - | 산정값
D1 | 백업 영역 | 데이터와 데이터의 변경 내역 정보 등의 백업을 위한 공간 | - | 산정값
D1 | RAID 여유율 | RAID 디스크가 도입될 경우 데이터 보호를 위한 패러티 영역으로 사용되는 공간을 위한 보정 | - | RAID1/RAID0+1/RAID1+0: 2.0, RAID5: 1.3, RAID6: 1.4

시스템 디스크 = (시스템 OS 영역 + 응용 프로그램 영역 + SWAP 영역) * 파일 시스템 오버헤드 * 시스템 디스크 여유율 * RAID 여유율 데이터 디스크 = (데이터 영역 + 백업 영역) * 파일 시스템 오버헤드 * 데이터 디스크 여유율 * RAID 여유율

9. Appendix

reference site